반응형

비트코인 2

가상화폐 클레이, 카카오의 숨겨둔 10조?

가상화폐를 전체적으로 바라보자. 비트코인이 전체 코인의 70%, 이더리움이 12%로 이 둘이 전체 코인의 80%를 넘게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그 외에는 가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테이블 코인 Tether가 5%, 금융에 특화된 리플 4%이다. 거래소로는 바이낸스가 전체 거래량의 50% 정도를 차지하며 압도적으로 크다. 그 뒤를 후오비, OKex, 비트맥스정도가 뒤따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도 규모가 있으나 글로벌 사이즈로는 작다. 가상화폐의 진흥 차원에서 업비트, 코인원, 빗썸 이 세 거래소를 하나로 합치는 것도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규모가 커지면 주요한 가상화폐 프로젝트를 유치하기도 좋고 관리하기도 편할 것이다. 특이할만한 것은 네이버, 카카오가 만든 코인이 있다는 것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0.10.07

비트코인의 새로운 이름 "디지털금"과 확산되는 가상화폐 기술

얼마전 중국정부가 위안화를 가상화폐로 만든다는 뉴스가 화제가 되었다. 쑤저우시에서는 심지어 실제로 공무원 월급을 가상화폐로 이미 지급하였는데 이 가상화폐는 시범지구의 맥도날드, 서브웨이, 스타벅스와 알리바바 ,징동닷컴 등에서 실제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중국의 위안화가상화폐, 즉 디지털위안화의 발행 명분은 자금의 흐름의 투명성 제고이다(라고 읽고 실제로는 완전한 감시라고 이해하면 된다).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현금이 누구로부터 누구로 지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는 중앙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등 보통의 가상화폐가 탈중앙화를 추구한다는 점과 다르다. 디지털위안화는 달러패권 체제에 대한 대안이라는 목적도 있다. 현재의 미중 갈등으로 중국은 달러화로 이뤄지는 국..

카테고리 없음 2020.09.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