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중국정부가 위안화를 가상화폐로 만든다는 뉴스가 화제가 되었다. 쑤저우시에서는 심지어 실제로 공무원 월급을 가상화폐로 이미 지급하였는데 이 가상화폐는 시범지구의 맥도날드, 서브웨이, 스타벅스와 알리바바 ,징동닷컴 등에서 실제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중국의 위안화가상화폐, 즉 디지털위안화의 발행 명분은 자금의 흐름의 투명성 제고이다(라고 읽고 실제로는 완전한 감시라고 이해하면 된다).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현금이 누구로부터 누구로 지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는 중앙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등 보통의 가상화폐가 탈중앙화를 추구한다는 점과 다르다.
디지털위안화는 달러패권 체제에 대한 대안이라는 목적도 있다. 현재의 미중 갈등으로 중국은 달러화로 이뤄지는 국제 결제 체계로부터 퇴출 가능성이 있는데 이럴 경우 사실상 국제 무역도 막히는 심각한 위험에 봉착하게 된다. 이런 위험으로부터 디지털 위안화는 달러 매개 없이 직접 결제가 가능하므로 최소한 무역이 가능하게는 된다.
재미있는것은 가상화폐를 연구하는 것은 중국 뿐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각국 정부에서는 다가오는 디지털 세상에서 지금과 같은 지권의 현금으로는 대응이 어려울수 있고 이는 결국 통화의 유용성이 떨어뜨릴 수 있다는 위기의식 하에서 가상화폐를 연구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한국은행 역시 코인을 연구 하고 있다.
보다 가상화폐스러운 최대의 민간 프로젝트는 페이스북의 리브라였다. 리브라는 주요 통화바스켓에 연동되어 가치가 안정적인 코인을 추구하였는데 각국 정부에서 통화주권을 위협한다는 엄청난 비난과 압력에 봉착하였다. 결국 프로젝트는 수정되었고 각국의 개별 통화에 연동하는 각각의 가상화폐를 만드는 것으로 후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브라 프로젝트가 좌초되지 않고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현재 시점에서 눈여겨 봐야 하는 것은 코인이 음지에서 양지로 넘어오고 있다라는 점이다. 한때는 그저 IT 긱들의 유희였고, 개미들의 투기수단이었던 코인이 이제는 실질적으로 금과 같은 정식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증명이나 하듯 올해 신규 코인 투자자가 늘면서 코인의 가격은 급등하였다. 단적으로 비트코인의 경우 연초 가격이 500만원대였는대 현재는 1200만원 이다. 반년만에 가치가 불과 3배가 넘게 상승한 것이다.
이러한 비트코인의 상승에는 비트코인을 안전자산으로 여기는 시각들이 기여했다. 밀레니얼 세대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비트코인을 '디지털금'이라고 하면서 금과 같은 성격의 대체투자 자산으로 여기고 있다. 실제로 그럴만도 한게 비트코인 가격도 금과 비슷하게 움직이고 있다. 혹자는 변동성이 크므로 안전자산이 아니다라는 이야기도 하지만 이는 타당하지 않다. 안전자산은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 자산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파산의 위험이 없는 자산이다. 그렇게 본다면 비트코인은 안전자산이 맞다.
비트코인이 다시 각광받고 있는 또 다른 이유는 기존 금융체제의 거대 플레이어들이 비트코인을 투자하고 시작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JP모건, 골드만삭스, 피델리티 등이다. 이들은 코인을 정식 자산으로 인정하고 펀드를 통해 투자를 시작하고 있는데 피델리티의 경우 최근 SEC 신고서로 이를 명시했다. 물론 펀드의 규모와 운영방식 등이 중요하겠지만 피델리티정도 되는 기관이 비트코인을 투자자산으로 보고 있다는 자체가 의미가 크다.
(피델리티가 인덱스 펀드를 만든다고 하니 이 인덱스에 포함되는 코인과 그렇지 못한 코인간에는 가격과 시장 평판등에 중요한 차이가 생길 듯 하다)
코인 펀드 관련해서는 기존에 설립된 그레이스케일이라고 하는 펀드가 있다. 이 펀드의 위탁액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도 기존 기관의 인식변화를 잘 보여준다 할 수 있다. 다만 규모면에서 볼때 전체 코인시가총액의 70%를 차지하는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이 대략 $280B, 310조원 정도로 글로벌 주식시장에서 비교하면 20위권 정도 되는 수준밖에 되지 않으므로 아직도 코인은 초장기 섹터라고 생각된다.
코인의 성장에 있어 또다른 중요한점은 규제다. 적절한 규제와 관리가 코인마켓의 건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에 각국 정부는 코인에 대해 과세와 규제를 통해 제도화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역시 조만간 특금법을 통해 가상화폐를 제도권으로 편입하려 하고 있다. 다만 금번 특금법은 거래소 관리에 초점이 맟줘서 있고 가상화폐 시장 전체를 산업적으로 규율하는 법은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법으로 코인이 제도권화 되고 있다는 인식이 퍼지면 단기적으로 시장에 부정적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코인의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추가적인 내용은 다음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