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니콜라와 수소경제, 한계와 가능성
얼마전 '니콜라'라는 나스닥 주식이 크게 화제가 되었다. 한화가 18년 11월에 1억불 투자한 회사인데 최근에 상장하면서 지분가치가 16억불이 되어 대박이 났다는 내용이다. 심지어 이 회사는 시총이 260억불을 넘기고 100년 역사의 자동차 회사 Ford 를 제쳤다. 대체 이 회사의 정체는 무엇일까?
니콜라는 '제 2의 테슬라'라고 불리는 수소트럭 회사이다. 니콜라는 여려면에서 테슬라에 비견되는데 일단 이름부터 그렇다. 원래 테슬라는 '니콜라 테슬라'라는 교류전기를 발견한 발명가의 성을 따온것인데 니콜라는 이 발명가의 이름을 따왔다. (대놓고 어그로를 끄는 것일 수도) 테슬라처럼 미래차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는 점도 유사한데 테슬라가 전기차의 대표라면 니콜라는 수소차의 대표다.
게다가 사업모델 방식도 비슷하다. 테슬라가 딜러 방식이 아닌 온라인 사전 예약 방식으로 선주문을 받는 것을 따라하듯이 니콜라도 사전 주문으로 트럭을 제조하고 있다. 아니 제조하려 한다. 니콜라는 매출도 0원이고 아직 공장조차 없다. 테슬라가 사업 초기에 제대로 생산도 못해서 비난 받았던 것과 유사하다. 다만 시장에서는 테슬라의 선경험이 있어서 인지 니콜라에 대해서 가치를 후하게 처주고 해주고 있다.
그렇다면 시장에서는 왜 이렇게 니콜라에 대해서 좋게 평가하는 걸까? 그것을 알려면 먼저 수소차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니콜라의 수소차는 정확히 이야기 하면 수소연료전지차이다. 즉, 수소를 연료전지로 전기신호로 전환하여 차량을 움직이는 방식이다. 전기차처럼 모터가 달려 있다는 점은 같지만 연료전지와 수소탱크가 있다는 점에서는 기존 내연기관과 유사하다. 따라서 전기차 대비해서 연료전지와 수소탱크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전기차과 비교해서 무엇보다 장점은 주행거리가 길다는 것이다. 테슬라의 전기차 세미가 2시간 충전으로 800km를 갈 수 있는 반면 니콜라의 트럭은 10분 충전에 최대 1920km를 주행가능하다. 이점은 승용차보다 상용차 영역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상용차는 24시간 내내 주행할 수 있는게 중요하므로 한번 충전으로 멀리가고 충전시간도 적은게 아주 중요하다. 전기차의 경우 주행거리와 주행 시간면에서 수소차 대비 적기 때문에 불리하다.
게다가 주행거리가 길어지면 수소차 활성화의 약점인 인프라 설치 비용도 줄어들게 된다. 현재 내연기관차는 25km당 주유소가 하나인데 수소차는 100km당 하나면 되는 거다. 수소충전소의 설치비용이 30억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프라 설치 비용을 줄이는 것은 주요한 부분이다.
게다가 상용차는 승용차와 달리 연료전지와 연료탱크 설치 공간에 대한 부담이 오히려 배터리를 많이 설치해야 하는 전기차 대비 적다. 최대 적재량 면에서도 수소차가 장점이 있는것이다. 물론 수소연료의 비용이 전기차 대비 3배가 높아 내연기관과 유사한 수준인데다 차량 가격도 연료전지에 들어가는 백금 촉매제 탓으로 훨씬 비싸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하지만 이 부분도 향후 규모의 경제에 따라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게다가 니콜라는 더 큰 비전을 그리고 있다. 그것은 수소경제의 핵심 인프라 플랫폼 사업자가 되는 것이다. 니콜라의 트럭이 전국을 돌아다니고 그런 동선을 기준으로 여러 수소 충전소를 세우면 그 자체가 수소경제의 근간이 된다. 따라서 니콜라는 차량은 원가 수준으로 받고 수소충전 비용으로 이익을 회수하는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수소 경제는 느낌보다는 눈앞에 다가온 미래이다. 이의 상징적인 신호가 독일 거래소의 시가총액 2위 회사가 린데라는 점에서도 증명이 된다. 린데는 가스에너지 기업인데 액화수소기술과 수소 충전 기술로 인해 시가총액 2위가 된 것이다. (참고로 1위는 SAP)
결국 니콜라가 그리는 것은 수소트럭회사에서 시작하지만 궁극적으로 수소 에너지 기업인 것이다. 올해부터 EU의 친환경차 규제 시작으로 CO2 발생량이 95g/km를 초과할 경우 1g당 95 유로의 벌금이 부과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소차의 이점은 더 크게 다가온다.
수소경제의 핵심이 되고 있는 니콜라. 아직 차량 한대도 제조하지 못했지만 이들의 비전이 한낮 사기가 아니라면 미래를 주목할 만한 회사이다.
좀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길 바란다.